1. 인덱스 생성
→ PUT index명
PUT jjam_index_name
▶ 인덱스(index)는 데이터를 색인 하면 자동 생성이 됩니다.
2. 인덱스 데이터 색인(PUT/POST 메서드 둘다 가능)
→ PUT index명/_doc/도큐먼트id
PUT jjam_index_name/_doc/123
{
"id": "123123",
"name": "peach-jam",
"data": "tistory-blog-winter1212"
}
→ POST index명/_doc/도큐먼트id
POST jjam_index_name/_doc/123
{
"id": "123123",
"name": "peach-jam",
"data": "tistory-blog-winter1212"
}
▶ POST index명/_doc 이와같이 할 경우 임의의 도큐먼트id가 자동 생성 되며 PUT 메서드에서는 도큐먼트id 자동생성이 불가능 합니다.
▶ 인덱스 생성시 _doc은 도큐먼트 타입 입니다.
3. 인덱스 조회 (GET)
→ GET index명/_doc/도큐먼트id 인덱스의 도큐먼트를 조회합니다.
GET jjam_index_name/_doc/123
4. 인덱스 삭제 (DELTE)
→ DELETE index명 인덱스를 제거 합니다.
DELETE jjam_index_name
→ DELETE index명/_doc/도큐먼트id 인덱스의 특정 도큐먼트를 삭제 합니다.
DELETE jjam_index_name/_doc/123
▶ 인덱스는 존재하며 "_id": "123" 도큐먼트가 삭제 됩니다.